재생에너지 전기 100% 사용 산단
서남권에 조성…입주사에 혜택
李 "규제 제로 적용안 검토하라"
김용범 "연내 특별법 제정 추진"
에너지전환·균형발전 효과 기대

◇‘지산지소’ 재생E 인근에 산단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사진)은 10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어 “연내 ‘RE100 산업단지 및 에너지신도시조성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브리핑에 앞서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RE100 산단 추진 방안을 보고했다. 대통령실은 이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다.
김 실장은 “RE100 산단 조성은 에너지 수급 구조와 대한민국 산업 지도를 새롭게 디자인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이 RE100 산단 조성을 최우선 정책 과제로 삼은 것은 에너지 대전환 대응과 지역 균형 발전을 동시에 이뤄내기 위해서다. 우선 서남권 해안같이 해상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전력원과 가까운 곳에 산단을 조성하고, 이곳에 입주한 기업은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를 사용하도록 해 ‘재생에너지 수요 공급 미스매치’를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실장은 “우리나라는 서남권을 비롯해 재생에너지 잠재력이 풍부한 지역이 있음에도 전력 수요가 수도권에 집중되는 등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가 크다”며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지역에 첨단 기업을 유치하고,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라고 했다. 김 실장은 이를 ‘지산지소(地産地消)’ 전략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전력원과 가까운 곳에 산단을 만들어 수도권보다 싼값에 전기를 공급하고 국가 차원에서 파격적인 지원 혜택을 제공하면 글로벌 첨단 기업 유치도 유리할 것으로 예상했다. 무엇보다 전력 소모가 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유치에 공을 들여 한국을 동북아시아 지역 데이터센터 핵심 거점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김 실장은 “이 대통령이 RE100 국가산단에는 원칙적으로 ‘규제 제로(0)’가 적용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했다.
김 실장은 “지방자치단체들이 글로벌 기업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장기 투자를 생각하는 기업들이 데이터센터 입지를 선택할 때 RE100 산단 관련 특별법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지역 균형 발전 효과도 기대”
지역 균형 발전도 기대하는 효과다. 수도권에 밀집한 산단의 지방 이전을 유도하고 신규 투자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끌어내겠다는 계획이다. 김 실장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산업지도 재편은 단순한 지역 나눠주기가 아니라 지역에 먹거리와 일거리를 만들어 주는 ‘진짜 성장’의 중요한 축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RE100 산단에 입주한 기업 관계자들이 재생에너지 발전 밀집 지역에 정주할 수 있도록 교육 등 관련 인프라 구축에 공을 들이기로 했다. 특히 청년층이 선호하는 도시 여건을 갖추는 데 신경 쓸 계획이다.
산업계에서는 전력 소요가 큰 데이터센터를 RE100 산단에 유치하는 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발전 단가를 낮추기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확대하면 전력 계통의 불안정성이 커질 수 있어서다. 김 실장은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대규모로 병행 투자하고, 초고압직류송전(HVDC) 해저 전력망을 구축하겠다”며 “5~10년 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정면으로 다루겠다”고 했다.
한재영/김형규 기자 jyhan@hankyung.com
한국경제 2025. 07. 10일 기사 발췌